안녕하세요! 요즘 당근 앱으로 중고거래부터 동네 소식까지 챙기시는 분들 많으시죠? 저도 당근 없으면 안 될 정도로 애용하는데요. 최근 하나은행과 당근, 당근페이가 손잡고 출시한 ‘당근머니 하나통장’ 소식을 듣고 직접 알아봤습니다. 당근페이와 연동돼 금리 혜택까지 주는 이 통장, 정말 솔깃하죠? 2025년 3월 기준 최신 정보로, 가입 방법부터 이벤트 혜택까지 친절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 당근 유저라면 꼭 확인해보세요!
당근머니 하나통장이 뭐예요?
‘당근머니 하나통장’은 하나은행과 당근, 당근페이가 협력해 만든 입출금 통장이에요. 쉽게 말해, 당근페이에서 쓰는 선불 충전금 ‘당근머니’를 이 통장에 보관하면서 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이죠. 2024년 9월 금융위원회에서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화제가 됐는데,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돈이 안전하게 보호된다는 점이 큰 매력입니다. 저도 당근으로 물건 팔 때마다 충전했던 당근머니, 이렇게 이자까지 준다니 놀랐어요. 동네 생활과 금융을 연결하는 첫걸음이라고 하니 기대가 큽니다.
금리 혜택, 얼마나 쏠쏠할까?
가장 궁금한 건 역시 금리죠! 당근머니 하나통장은 사용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해요. 기본 금리는 연 0.1%(세전)인데, 전월 당근페이 사용 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이 붙습니다.
- 전월 당근페이 1회 사용: 연 1.9% 우대금리 (총 연 2.0%)
- 전월 당근페이 2회 이상 사용: 연 2.9% 우대금리 (총 연 3.0%)
최대 300만 원까지 이 금리가 적용돼요. 예를 들어, 월 300만 원을 넣어두고 당근페이로 거래 두 번만 하면 연 3.0% 이자를 받으니, 은행 적금보다 나은 조건이죠. 조건도 간단해서 당근 유저라면 누구나 쉽게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.
안전성과 지역 맞춤 혜택
이 통장은 예금자 보호법 적용으로 당근머니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어요. 게다가 ‘내 동네 맞춤형 금융혜택’도 제공한다고 합니다. 아직 구체적인 혜택은 2025년 3월 기준으로 추가 발표를 기다려야 하지만, 동네 가게 할인이나 적립 같은 실용적인 서비스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. 하나은행은 “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”고 밝혔으니, 소상공인과 주민 모두에게 유익한 상품이 될 것 같아요.
가입 방법, 이렇게 쉬울 수가!
가입은 당근 앱에서만 가능해요. 은행 지점이나 하나은행 앱으론 안 되니 주의하세요. 방법은 간단합니다.
- 당근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.
- 앱 내 ‘당근머니 하나통장’ 배너를 찾아 클릭합니다.
- 하나은행 비대면 계좌 개설 페이지로 이동해 안내를 따라 진행하면 끝!
비대면이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, 선착순 57만 명 한정이라 서두르는 게 좋습니다. 저도 앱에서 바로 확인했는데, UI가 직관적이어서 금방 끝냈어요.
출시 기념 이벤트 놓치지 마세요
통장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풍성해요. 아래 혜택을 챙겨보세요!
이벤트는 당근 앱 내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 작은 혜택도 쌓이면 큰 도움이 되죠!
당근머니 하나 체크카드 혜택
통장과 함께 쓰면 좋은 ‘당근머니 하나 체크카드’도 빼놓을 수 없어요.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당근 입점 스토어 온라인 결제: 5% 적립
- ‘내 동네’ 오프라인 결제: 3% 적립
- 국내 모든 가맹점 결제: 0.5% 적립
월 최대 3만 원까지 적립 가능해요. 동네 가게나 당근 쇼핑을 자주 한다면 이 카드는 필수템이죠.
누구에게 추천하나요?
이 통장은 이런 분들에게 딱이에요!
- 당근 앱과 당근페이를 자주 쓰는 유저
- 소액으로 높은 금리를 받고 싶은 분
- 동네 경제 활성화에 관심 있는 분
- 안전하게 당근머니를 관리하고 싶은 분
학생, 주부, 직장인 모두에게 유용한 스마트한 선택입니다.
당근머니 하나통장 궁금증 해결
당근머니 하나통장으로 스마트하게!
2025년, 당근머니 하나통장은 당근 유저라면 꼭 알아야 할 상품이에요. 연 3.0% 금리(300만 원 한도)와 안전성, 지역 맞춤 혜택까지, 동네 생활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줍니다. 선착순 57만 명 한정이라 당근 앱에서 지금 가입해보세요. 체크카드 적립과 이벤트 혜택도 놓치지 말고 챙기시길! 작은 저축과 소비가 큰 이득으로 돌아오는 이 기회를 잡아보세요!
댓글 쓰기